[교재특징]
1. 공인노무사, 사법시험, 공무원 시험의 기출문제를 수록하였습니다.
해 아래 새 것이 없는 법이라, 매년 기출지문이 중복되는 부분이 상당합니다. 다만, 기출문제를 그대로 올릴 경우 기시감 때문에 학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당수의 기출지문들은 변형하거나 다른 문제들을 추가해서 실어 놓았습니다.
2. 진도별로 문제를 편집했습니다.
이 문제집은 진도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진도별로 문제를 편집했습니다.
3. 각 진도별 객관식 문제의 앞부분에 해당 부분의 법령과 중요 판례를 요약·정리해 두었습니다.
빠른 시간 안에 관련 법령과 판례들을 훑어보기를 원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이를 요약·정리해 두었습니다. 공인노무사 시험의 경우 노동법1과 노동법2 모두 40문제까지 문항수가 늘어난 만큼 중요법률은 시행령까지 수록해 놓았습니다.
4.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을 제외한 기타 개별 법령의 문제도 실려 있습니다.
40문제로 문항수가 늘어난 2024년도 공인노무사 1차 시험의 경우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법 이외의 기타 법령에서 상당히 많은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기타 법령의 요약과 관련 기출문제, 그리고 예상문제를 실어놓았습니다. 기타 법령들은 공부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급적 많은 문제를 풀어볼 수 있도록 편집했습니다.
5. 최신 판례 및 최근 개정된 법령도 문제화하였습니다.
기출문제의 최대 약점 중의 하나가 최신 판례 및 최신 법령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이 책은 최근 판례 중 중요한 부분들, 그리고 최근 개정된 법령도 문제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출문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각 지문별로 상세한 해설을 달아 놓았습니다.
수험생활을 거치면서 개인적으로 1차 문제집에 대해 가졌던 불만 중 하나가 일부 문제에만 해설을 달아놓는 것이었습니다. 왜 그런 것인지 알고 싶은 지문에는 정작 해설이 달려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쪽수가 방대해 진다는 또 다른 의미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해설이 친절한 문제집을 지향했습니다. 거의 모든 지문에 해설을 달아놓았으므로, 별도의 교재를 뒤져야 하는 불편함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제1편 노동법 1
제1장 노동법 총론
제2장 헌법상 근로의 권리(헌법 제32조)
제3장 근로기준법 총론
제4장 근로계약과 근로관계의 성립
제5장 취업규칙
제6장 임금
제7장 근로시간과 휴식
제8장 기업변동과 근로관계:합병·영업양도·분할
제9장 인사 및 징계
제10장 근로관계의 종료
제11장 연소자와 여성의 특별보호
제12장 기타 근로기준법상의 규정
제13장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4장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5장 산업안전보건법
제16장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7장 최저임금법
제18장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19장 임금채권보장법
제20장 직업안정법
제21장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2장 근로복지기본법
제2편 노동법 2
제1장 노동법 총론
제2장 헌법상 노동3권
제3장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총론
제4장 노동조합의 설립
제5장 노동조합의 민주적 운영
제6장 노동조합의 활동
제7장 노동조합의 해산 및 조직형태 변경
제8장 단체교섭
제9장 단체협약
제10장 노동쟁의의 조정(調整)
제11장 쟁의행위
제12장 부당노동행위
제13장 노조법상 신고기관, 유의기간, 노동위원회 의결사항
제14장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15장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16장 근로자 참여 및 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
제17장 노동위원회법